Linux19 특수권한 (setuid, setgid, sticky bit) chmod u+s [filename] OR chmod 4777 [filename] >setuid 설정하는 명령어. 파일을 실행할 때, 파일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밑줄친 숫자 부분은 자신이 원하는 권한에 맞게 설정.chmod g+s [filename] OR chmod 2755 [filename] >setgid 설정하는 명령어. 해당 디렉터리 내에 파일을 만들 때, 디렉터리의 그룹 소유자가 파일의 그룹 소유자가 되도록 하는 명령어. 밑줄친 숫자 부분은 자신이 원하는 권한에 맞게 설정. chmod +t [filename] OR chmod 1755 [filename] >sticky bit를 설정하여 해당 파일이 지워지지 않도록 만들어준다. 해당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 2024. 9. 3. 환경변수 관련 명령어 (env, .bashrc, /etc/bashrc) printevn OR env >모든 환경변수를 확인.echo $______ >특정 환경변수 값 보기 ex) echo $SHELL //SHELL의 환경변수 확인.. ex) echo $PATH ex) echo $MAILexport [_______] >환경변수 설정하는 명령어. 로그아웃 시 사라진다. ex) export TEST=1 //TEST라는 환경변수에 1을 입력함. echo $TEST //환경변수 TEST를 불러오면 output으로 input했던 1이 나옴.vi .bashrc >영구적으로 로그인한 계정에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명령어. vi를 통해 bashrc에 환경변수를 정의해준다. ex) vi .bashrc //vi 에디터로.. 2024. 9. 3. 명령어 사용법 (hostnamectl, dmidecode, arch, script, sosreport) hostnamectl set-hostname [newhostname] ex) hostnamectl set-hostname RHCSA //hostname을 RHCSA로 바꿈. >vi /etc/hostname으로 안에 내용을 바꾸면 재부팅 후, hostname이 변경됨.dmidecodeuname -acat /etc/redhat-release >시스템 정보를 보여줌.arch >system architecture 보여줌script [filename] >검색한 명령어 실행 내용들이 저장됨. >내가 기록한 일지 같은 느낌…sosreport >root계정으로 실행. case ID를 입력하여 sosreport 만듬. >/var/tmp에서 확인 가능. 2024. 9. 3. 명령어 사용법 (df, dmesg, iostat, netstat, free, log모니터링) System Monitoring cmddf [option]>디스크의 여유공간을 보여줌. ex) df -h //사람이 보기 쉬운 형태로 보여줌.dmesg >시스템 하드웨어 관련 오류 메시지들이 저장되어 있는 곳iostat [number] >input, output 상태를 보여줌. ex) iostat 5 //5초마다 새로고침하여 상태 보여줌.netstat >네트워크 관련 상태를 보여줌 ex) netstat | more ex) netstat -rnv //Destation, Gateway, Genmask 등 보여줌.free >메모리 사용 현황을 알려줌. 실제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 ex) free -h //사람이 보기 쉬운 형태로 보여줌.cat /proc/cpu.. 2024. 9. 3. CentOS 9 잊어버린 root 비밀번호 변경 >restart를 하면 CentOS 9 선택창에서 e를 눌러 grub edit 창으로 넘어감. >사진에 적힌대로 “rd.break” 입력 후 부팅을 위해 ctrl x를 누름. 그러면 single usermode로 넘어감. >single usermode 창에서 파일 시스템을 쓰기 가능으로 다시 마운트한다.switch_root:/# mount -o remount,rw /sysroot >파일 시스템의 root를 변경한다.switch_root:/# chroot /sysroot >passwd root 명령을 입력 후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h-5.1# passwd root >exit로 chroot 모드에서 나온다. +chroot모드를 나가기 전, 보안을 위해 SELinux 파일을 사.. 2024. 9. 2. 명령어 사용법 (bg, jobs, fg, nohup, nice) bg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background로 보냄 jobs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status를 보여줌 >sleep 100 실행 후 ctrl + z를 누르면 해당 프로세스가 멈춤. jobs를 통해 확인 가능fg >현재 실행중인프 세스를 Forwardground로 보냄. nohup [process] & >bg로 프로세스를 실행함. ex) nohup sleep 100 & //sleep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 이때, 오류 메시지가 뜨는데,, 해당 메시지를 보이지 않게 하려면,, "nohup sleep 100 > /dev/null 2>&1 &"로 실행한다. nice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결정. >-20이 제일 높은 우선순위. 19가 제일 낮.. 2024. 8. 30. 명령어 사용법 (top, kill, crontab, at) top >프로세스 정보 보여줌. ex) top -u [username] //유저가 소유한 프로세스를 보여줌. ex) top 창에서 c //명령어들의 절대경로 보여줌. ex) top 창에서 k //PID로 원하는 프로세스를 죽임. ex) top 창에서 M과 P //프로세스를 메모리 사용량으로 sorting함. kill [option] [PID] ex) kill -l //시그널 명과 넘버의 리스트를 보여줌. ex) kill [PID] //해당 프로세스를 죽임. ex) kill -1 //프로세스 재시작 ex) kill -9 //프로세스 강제 종료 ex) kill -15 //프로세스 즉시 종료 ex) .. 2024. 8. 30. 명령어 사용법 (systemctl, ps) & LDAP 간단 설명 systemctl [command] [servicename].service ex) systemctl status firewalld.service //firewalld의 상태를 보여줌. ex) systemctl stop firewalld.service //firewalld 사용을 중지시킴. ex) systemctl start firewalld.service //사용 중지된 firewalld를 시작함. ex) systemctl enable|restart|reload servicename.service //사용가능하게,재시작,재로드함. ex) systemctl list-units --all //모든 systemctl list에 있는 유닛을 보여줌. (act.. 2024. 8. 30. 명령어 사용법 (uptime, uname, which, cal, bc) uptime >현재시간, 동작기간, 현 사용자 수, cpu평균사용량uname >현재 사용중인 시스템 정보를 보여줌. which >명령어가 저장된 위치 알려줌. cal >달력 보여줌. ex) cal 4 1994 //1994년 4월 달력 보여줌. ex) cal 2024 //2024년 전체 달력 보여줌. bc >간단한 계산기 기능. 2024. 8. 30. 명령어 사용법 (who, last, pinky, w, users, wall, write, sudo) who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의 이름 및 간단한 정보 보여줌.last >과거 사용자들 정보 보여줌.pinky >who보다 상세히 보여줌.w >사용자 정보를 cpu와 함께 보여줌.users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의 이름만 보여줌.wall >현재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냄. >root계정에서 사용가능. >원하는 정보 입력 후, ctrl + d를 눌러야 보내짐.write [username] >원하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냄. >양방향 다 mesg y 설정이 되어있어야 함.sudo .. fdisk -l or dmidecode >sudo는 관리자 차원에서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실행시켜줌... 2024. 8. 3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