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hterchannel은 여러 회선을 하나의 회선으로 보이게 하는 기술로, STP (Spanning Tree Protocol)은 Ehterchannel을 하나의 회선으로 인식하여 looping 방지를 위한 blocking을 하지 않는다. 또한, Load balancing을 자동으로 수행해 하나의 회선이 다운되면 다른 회선으로 traffic을 보내 외부에서 Ehterchannel link가 up되어 보이도록 한다. Cisco에서 EtherChannel은 L2 EtherChannel 또는 L3 EtherChannel로 정의할 수 있다. 1. L2 EtherChannel에서 physical port는 EtherChannel group에 속한다. logical port-channel interface는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2. L3 EtherChannel에서 L3 Switch Virtual Interface (SVI)가 생성된 후 physical port가 L3 SVI에 바인딩 된다.
PAgP (Port Aggregation Protocol)와 LACP (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는Ethernet interface들 끼리 패킷을 교환함으로써 Ehterchannel을 자동생성하도록 해주는 기술로, PAgP는 시스코 전용이고 LACP는 표준 솔루션이다. (그 외 추가로.. Static (“On”)도 있다)
LACP mode 1. passive: 스위치가 channel을 시작할순 없지만, LACP packet은 이해할 수 있다. 2. active: LACP packet을 보낼 수 있고, port-channel을 만들 수 있다. 아래 테이블은 LACP에서 Etherchannel을 형성되거나 되지 못하는 표를 타나낸다.
LACP
Active
Passive
Active
Yes
Yes
Passive
Yes
No
PAgP mode 1. desirable: PAgP packet을 보낼 수 있고, port-channel을 만들 수 있다. 2. auto: PAgP를 추적할 수 없지만, 받은 PAgP packet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아래 테이블은 PAgP에서 Etherchannel을 형성되거나 되지 못하는 표를 타나낸다.
PAgP
Desirable
Auto
Desirable
Yes
Yes
Auto
Yes
No
Static ("ON") mode 연결하는 즉시 Etherchannel이 되지만, 해당 모드를 사용할 때, 양쪽 모두 static mode로 확실히 설정되어야 한다. 해당 mode는 port parameter가 서로 match 되는지 확인하지 않기 때문이다. **동일해야하는 설정 종류: - Speed settings - Duplex settings - STP settings - VLAN membership (for access ports) - Native VLAN (for trunk ports) - Allowed VLANs (for trunk ports) - Trunking Encapsulation (ISL or 802.1Q, for trunk ports)
댓글